본문 바로가기

다시 배우는 수학

숫자의 발명


약 2000년 전 인도에서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적당한 개수의 선을 그어 수를 표시했다. 이후 마른 나뭇잎이나 나무껍질에 글씨를 쓰기 시작하면서 점차 필기하는 모양이 변했다. 이 과정에서 변형된 패턴을 따라 서로 다른 9개의 숫자들이 만들어졌다. 한편, 유럽대륙 전역에서는 로마의 숫자 체계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 체계는 이집트에서 발견된 최초의 숫자들을 개량한 것으로 숫자에 상징적인 획을 긋고 10에는 특별한 표시를 했으며 숫자 이름의 첫 번째 글자를 기록하는 그리스 아테네의 방식도 응용되었다.


숫자가 지금과 같이 쓰이지 않았던 과거에는 동서양 모두 주판을 이용해 계산했다. 이 고대 주판에서 만약 이 단순히 어떤 두 홈에 각각 들어 있는 두 개의 조약돌을 나타낸 것이었다면, 그 수는 22, 220, 202, 2002 등의 수 중 하나를 의미했을 것이다. 이렇게 고대 주판에서 수를 알기 위해서는 홈마다 있는 조약돌 개수뿐만 아니라 각 조약돌이 몇 번째 홈에 있는 지도 알아야 했다.

 

정확한 신원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인도의 서기로 추정되는 한 사람이 처음으로 우리가 수를 표기하는 것과 비슷한 표기법을 고안했다. 그는 주판에서 조약돌 수를 나타내기 위해 특별한 표시를 했다. 오늘날 우리가 비어있는 자릿수를 표시하기 위해 0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그는 주판의 비어있는 열을 나타내기 위해 점을 사용했다. 인도의 산스크리트어에 ‘공백’이나 ‘부재’를 의미하는 ‘슈냐’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은 아주 오래 전부터 인도의 삶과 문화에서 종교 및 신화적 사고의 핵심적 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본래 슈나는 공백, 하늘, 공기, 공간의 의미를 지녔으며 나아가 창조되지 않은 것, 존재하지 않는 것, 형상화되지 않은 것, 사유되지 않은 것, 부재, 없음 등을 의미했다. 따라서 인도 학자들은 슈나를 수의 요소로서 ‘없음’을 표현하는데, 수학적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철학적 관점에서도 매우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다시 배우는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하학의 기원  (0) 2017.03.19
함수  (0) 2017.03.14
수식  (0) 2017.02.21
대수학  (0) 2017.02.12
수의 분류  (0) 2017.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