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향한 시선

국정 교과서

'톰 소여의 모험' 및 '허클베리 핀의 모험'이라는 소설로 잘 알려진 미국의 소설가 마크 트웨인은 '역사는 그 자체로서 반복되지는 않더라도, 유사한 형식으로 다시 나타난다'고 하였다. 즉,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들과 그 사건들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을 들여다보면, 지금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에 대한 단서는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민주주의로 포장된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가 급격하게 팽창해가던 시기 모든 이들은 그저 급격히 성장해가는 경제와 그 안에서 나날이 개선되어 가는 삶의 질에 취해 있었다. 때문에 이러한 패턴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절차 상의 문제나 사소한 듯 여겨지는 문제들은 의도적으로 덮어두었던 측면이 있다. 즉, 대세를 거스르지만 않는다면 사소한 잘못 쯤은 어렵지 않게 눈감아주는 시대였고, 조금 더 거창하게 얘기하면 잘못된 역사에 대한 단죄가 등한시 되던 시대였다. 그러나, 잘못된 방식으로 쫓아왔던 성장은 어느 시점에 이르러 한계에 부딪치게 되었고, 곳곳에서 파열음들이 생겨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로부터의 관성에 젖은 이들은 이 파열음들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을 뿐더러, 이 파열음들을 철저하게 고립시키기까지 했다. 이들이 파열음들을 이토록 철저하게 고립시킬 수 있었던 수단은 잘 디자인된 교육 프로그램이었다.


반면에, 급격한 성장의 시기를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대들은 이제껏 이 파열음들 속에서 자라오며, 체제 전반에 대한 의구심을 키워 왔다. 그러나, 잘 디자인된 교육 덕분에 이들은 그 의구심을 표출하고 개선을 유도해내는 방법을 알지 못했고, 그저 순응하며 살아갈 뿐이었다. 이들이 알지 못했던 바는, 순간순간 터져나오는 불만들과 저항들이 그때그때 해결되지 못한채 억눌리며 쌓여가면, 결국 더 크게 폭발하게 된다는 것이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의 위험성을 간접적으로 경고해왔던 사람들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다양한 문학 작품들 속에는 은유를 통해 이 불합리한 사회 체제가 어떻게 귀결될 것인지에 대한 의미있는 경고들이 있었다. 다만, 이 역시 기득권층은 저변에 깔린 메세지 자체 보다는 문학적 수사에 초점을 둔 교육의 재료로 둔갑시켰다. 지금 우리나라, 그리고 세계 전반에 걸쳐 드러나는 갈등과 반목을 보면, 이제 그간 유지되어 왔던 사회적 체계가 지녀온 불합리가 한계에 달한 듯 보인다. 세대간의 갈등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갈등은 이제 세계 어디를 가나 위험한 수준에 달한 듯 느껴진다.


그렇기에, 아직 어린 아이들을 키우며 살아가는 우리 또래들에게 국정 역사 교과서는 참담하게 느껴질 수 밖에 없다. 어린 시절 획일화된 역사적 관점을 주입받으며 자라오다가, 어른이 되어 다른 세계들을 경험하며 그 허구를 인지하게 된 이들이 과연 아이들을 또다시 그런 방식으로 키우고 싶을까? 내가 시행착오를 통해 느끼게 된 잘못된 역사를 아이들이 똑같이 느끼게 되기까지 이 아이들은 또 얼마나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될까? 그리고, 무엇보다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소란스러움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이 소란스러움이 자연스럽게 다루어지는 것을 보지 못하고 자란 아이들이 이해하게 될 날이 오기는 할까?



'세상을 향한 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관  (0) 2017.03.24
반민족규명법  (0) 2017.03.21
이정미 권한대행 퇴임사  (0) 2017.03.13
박근혜 탄핵심판 선고문  (0) 2017.03.10
세금과 국채  (0) 2017.02.08